VE란?

2019. 9. 24. 13:56WORKS/VE_LAB

1. VE의 정의

최저의 생애주기비용으로 최상의 가치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의 기능분석을 통한 대안 창출 노력으로, 여러 전문분야의 협력을 통하여 수행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VE의 목적

제품이나 시설이 갖고있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리하여 분석함으로써 필수기능과 법적제도적 필요기능 그리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설계자 착상에 의한 기능을 대상으로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상하여 대체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VE 3요소]

3. VE활동에서 본 가치

가치는 고객이나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에 의해 정립된다. 가치는 항상 비용을 줄임으로써 증가된다.(물론 성능은 유지) 가치는 고객이 필요하고 요구하고 더 나은 성능을 위하여 기꺼이 비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면 성능을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된다.

[가치(C), 기능(F), 비용(C) 관계]
[가치향상 4가지 유형]

4. VE 실시시기와 효과

프로젝트의 원가는 설계단계에서 대부분 결정되므로 VE는 설계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VE 실시시기와 효과]_(사)한국VE연구원 웹사이트에서 발췌

5. 설계VE

계획,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발주자가 해당 프로젝트의 계획이나 설계에 종사하지 않았던 자로 구성한 VE팀을 편성하고,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원래의 계획이나 설계를 검토하고 대체안을 작성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의 VE를 총칭하여 설계VE로 부르며, 설계VE에서 제안된 대체안을 VE제안(VE Proposal ; VEP)이라고 부른다.

6. 시공VE

공사계약 후 시공자가 자발적으로 계약내용을 검토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체안을 작성하여 발주자에게 계약변경을 제안하는 것이다. 발주자는 그 제안을 심사하여 변경에 의해 당초의 계약에서 요구된 프로젝트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공사비의 절감이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정식으로 계약을 변경한다. 일반적으로 절감액의 절반가량을 VE에 대한 보상금 또는 장려금으로 시공자에게 지급한다. (한국의 경우 70%를 지급)

시공VE에서 시공자가 계약변경을 제안한 대체안은 VE변경안(VE Change Proposal ; VECP)이라고 한다.

7. VE 추진절차

추진절차는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지침"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의 특성과 VE연구기간에 따라 세부내용의 조정이 필요하다.

[VE 흐름도]_(사)한국VE연구원 웹사이트에서 발췌

 

'WORKS > VE_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shop #2_190828  (0) 2019.10.07
workshop #1_190823  (0) 2019.09.10